서리플의 빛

피사계 심도 본문

진사 게시판/촬영 S·W

피사계 심도

띠띠 아범 2021. 3. 17. 10:50

랭포드의 "사진강의 ( page 50-55)"에 나와 있는 피사계 심도에 대한 간단한 설명입니다.

1. 피사계 심도의 정의 : 피사체 앞뒤의 초점이 맞는 범위.

2. 적용

   가. 최대 개방 조리개 에서 심도는 가장 낮아지고,

   나. 최소 조리개에서 심도는 최대가 된다.

   다. 피사체에 접근하여 촬영할 수록 심도는 얕아지며

   라. 멀어질 수록 깊어진다.

   마. 심도는 촬영 거리가 같더라도 랜즈의 초점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3. 초점 거리별 피사계 심도

     본 적용 예는

     캐논 7d mark 2, 70mm 렌즈,  200mm 렌즈, F 2.8, 1.4익스텐더,  피사체와의 거리 10M

      를 가정하여" HYPER FOCAL " App에서 계산한 내용입니다.

 

구분 70mm 70mmx1.4익스텐더 200mm 200mmx1.4 익스텐더
F 2.8 4.0 2.8 4.0
피사계 심도(DOF) 2.802M 1.431M 0.249M 0.155M
 Near   Limit  9.66 M    (45%)  9,366 M  (46%) 9.877M   (49%) 9.923M  (50%)
 Far     Limit 11.148 M  (55%) 10.766M   (54%) 10.126M  (51%) 10.078M (50%)

 

4. 마무리

   70-200mm  줌렌즈 등으로 새(鳥) 촬영 시,  200mm를 사용하다 화각을 넓게 하기 위해

    70mm로 zoom out 하면  조리개 변화 없이도 피사계 심도가 깊어져서, 배경의  Out Focus가

    원하는 만큼 안됩니다.  이런 경우처럼 피사계심도 (Depth Of Field, DOF)를 알고

    촬영하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진사 게시판 > 촬영 S·W'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cus shifting  (0) 2019.04.05
알면 좋은 블로그 1. (촬영 요령)  (0) 2014.11.06
풍경 사진(CANON)  (0) 2014.05.20
인물사진 (CANON)  (0) 2014.05.19
야경 촬영 (CANON)  (0) 2014.05.1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