띠띠 아범 2014. 4. 23. 14:01

별 궤적 촬영법/ 별 점상 촬영법

 

촬영장비

예: 카메라 : 캐논5D MARK3, 렌즈 : EF16-35MM, F2.8USM, 릴리즈, 삼각대.

 

카메라 세팅

1. 카메라 메뉴

  재생시간 : 해제, 노이즈 감소기기능(장노출시) : 해제, 고감도ISO 노이즈감소 : 해제,

                  캘빈값 : 3,000.

 

2. 초점과 구도.

  초점과 구도를 잡기위해서는 먼저 M모드로 설정한 뒤 어두운 정도에 따라

  감도 ISO 값을 임의로 주고(2,000이상), 셔터시간 8초, 조리개 최대개방(F2.8),

  카메라 초점무한대로 놓고 먼저 찍어본다.

  별 궤적 촬영에서는 촬영 전 준비과정인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

  한방 중에는 너무 어둡기 때문에 뷰파인더를 보고 포커스와 구도를 잡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

  카메라의 초점을 무한대로 놓았다고 해도 포커스가 맞지 않기 때문에 조금씩

  렌즈 구간의 눈금을 움직여서 촬영해 보고 LCD를 최대 크기로 한다음 포커스와

  구도를 확인해야 한다.

 

3. 카메라 및 릴리즈 촬영 세팅

* 조리개 : 최대개방 F2.8 - 조리개를 너무 조이면 별의 궤적이 가늘어서 제대로

  표현되지 않을 수도있다.

* 감도ISO 100 - 깨끗한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가장 낮은 감도 값이 좋다.

* 1장당 촬영시간 4분(30회)=120분 - 잘 이어진 궤적을 촬영하기 위해서 일단

     셔터속도를 길게 잡았다.

  장당 촬영시간은 3~5분을 넘기지 않는 게 좋은데, 5분을 넘기면 열화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 카메라의 세팅값은 주변 빛의 정도와 장비에 따라서 차이점을 보인다.

 

※ 촬영 후 별 궤적 연결하기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STARTRAILS라는 독일계 프리웨어다.

 짧게 끊어서 찍은 별 궤적을 이어주는 아주 유용한 프로그램인데, 이 프로그램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JPG로 촬영해야 한다.

 작동법도 간단한 편이라서 가장 애용하는 프로그램이다.

 포토샾의 레이어 기능을 이용해도 연결하는 건 그렇게 어렵지 않다.

 (단 컴퓨터의 용량이 좋아야 한다.)

 

                           [출처] 별 궤적 촬영법/별 점상 촬영법|작성자 오계절

 

 

 

                               별 궤적 촬영하기

 

먼저 별 사진을 찍으려고 한다면 주변에 빛이 없고 별이 많이 볼수 있는 곳으로

가야 합니다. 
도심에서는 날씨가 맑아서 별이 많이 보인다고 하더라도 도시의 빛은 잡광이 너무 많기

때문에 노출을 오래주어서 별 궤적을 촬영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별은 어두운 밤중에 촬영을 하기때문에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합니다. 
특히 겨울철 촬영의 경우에는 추위 때문에 방한 장비를 반드시 준비하도록 합니다.

촬영장비 준비물로는 튼튼한 삼각대, 릴리즈, 카메라, 렌즈 등입니다.

별 촬영은 벌브모드로 장노출로 촬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니 지지하중이 좋은 삼각대와

셔터 릴리즈를 반드시 준비합니다. 렌즈의 경우에는 2.8 고정 줌렌즈가 좋습니다.

 

어디서나 촛점이 북극성에 맞게 카메라를 설치해야 팽이처럼 회전됩니다.

 

 

준비물

    1. 카메라 + 배터리 (배터리 많은수록 좋습니다.)

    2. 삼각대 (꼭 있어야 합니다.)

    3. 릴리즈 (벌브락 되는 릴리즈) or 인터벌 릴리즈

       (니콘 바디에는 인터벌 기능이 있습니다.)

    4 친구 or 책 or 노트북 (장노출을 하기때문에 지루함을 덜기위해서)

 

인터벌 릴리즈란?

    - 일반 릴리즈와는 조금 다르며 본인이 사진을 몇초에 몇장을 찍겠다 라는 것을

       설정해 줄수 있습니다.

 

촬영방법

 

     1,  화질모드 : JPEG

         RAW로할경우 메모리카드에 사진 입력시간이 오래 걸려 베터리소모가 많아지며,

        200 여장 이상을 촬영해야하는 용량의 메모리 카드가 고가이고,  또한 합성프로그램

         star trails가 jpeg를 요구함. 

    2. 카메라에 완충된 배터리를 넣고 삼각대에 단단히 고정시킵니다. 

    3. 촬영모드는 M 이고, 화이트 밸런스틑 K(3000)에 놓습니다.

        (화이트 밸런스는 자기 마음대로, 저는 K 추천)

 

    4. 렌즈는 초광각으로 AF가 아닌 MF 모드 사용

       (무한대 /밤하늘에 초점을 맞추기가 곤란하므로) 

    5. 조리개는 F4.0~F8.0, 셔터속도 30초(고정), ISO 100~800 정도

       (주변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6. 셔터는 연사 모드에 놓습니다.

 

    7. 릴리즈를 이용해서 셔터락을 해놓습니다.

       (릴리즈가 없으신 분들은 30초에 한번씩 셔터를 눌러주면 됩니다.) 

    8. 보통 1시간 정도 촬영합니다. (30초에 한장이니 한시간이면 120장)

       (디지털 카메라이기 때문에 1시간 노출을 주면 심한 노이즈가 발생하여

            여러장을 찍는 겁니다.) 

    9. 이곳에 올려놓은 "startrails" 프로그램으로 한장의 사진으로 만들어 줍니다.

 

 

정 리

     본체에서 모드는 M, 화이트 바란스는 K, 조리개는 F4.0~F8.0, 셔터속도 연사로 놓고

     30초(고정), ISO 100~800 정도, 렌즈는 AF가 아닌 MF, 릴리즈는 셔터 락으로 

 

 

※ 북극성 찾는 법

 

북극성이 작은 물주걱의 손잡이 끝에 매달려 있으므로 북극성만 찾으면 이 별자리는

쉽게 찾을 수 있다. 북극성은 북두칠성의 물주걱 변두리의 두 별의 길이를 다섯 배쯤

연장시킨 곳에 자리잡고 있다. 북두칠성이 지평선에 걸려서 잘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북극성 너머 반대편에 자리잡고 있는 카시오페이아 자리를 찾자.

 

그 별자리는 영어문자의 W 모양이다. 이 W자의 정점으로부터 중심에 위치한 별을

연결하여 이 거리의 다섯 배쯤 연장시켜 보면 하나의 밝은 별에 도달한다.

이것이 바로 북극성이다

 

 

 

      첨부파일 Startrails.zip(별 궤적 프로그램~ 혹 열리지 않을 때는 드레그해서 검색란에 놓고

                           검색하면 됩니다)

 

  

 

 

 

 

 

 

    ★ 보 너 스 ★ (비행기 궤적 촬영하기)

 

  

   모든 메뉴는 별 궤적 촬영하는 것과 같고 F 값과 셧더 값만 틀립니다

   비행기 촬영에서는 F 값을 3.5 ~ 5 정도로 하고, 셔터 값은 1.3 ~ 1.5 를 놓는데

   저는  Raw 로 촬영했기에 1을 놓고 담었습니다만, Jpg로 촬영하기를 바랍니다

 

◈ 정 리

  바디에서 모드 M,

  화이트바란스 K (이건 각자 취향대로),

  조리게 3.5 ~ 5,

  셧더속도 1.3 ~ 1.5, 에서 연사, 락,

  ISO 200, 

  오토 포커스는 렌즈에서 ∞ 그리고 MF로 놓고 촬영 

 

 

윗 사진은 부천 포인트에서 착륙하는 것을 담은 것이고, 아래 사진은 제주공항에서

이륙하는 것을 담은 것입니다

  

                                                  <자료 : 나그네 사진방>